제네릭(Generic) 타입파라미터(T) vs 와일드카드(?) 차이
제네릭(Generic)의 사전적 의미는 일반화이다.
제네릭의 장점은 컴파일시 데이터타입을 체크해줘서 타입이 안정적이고 타입체크와 형변환을 생략할 수 있어 코드가 간결해진다.
제네릭(Generic)의 사전적 의미는 일반화이다.
제네릭의 장점은 컴파일시 데이터타입을 체크해줘서 타입이 안정적이고 타입체크와 형변환을 생략할 수 있어 코드가 간결해진다.
스프링프레임워크를 공부하면서 DTO와 Entity의 역할 차이는 확실한데 Model의 개념과 셋의 차이점이 궁금해 추가로 공부해봤다.
닷넷프레임워크를 사용할땐 대부분의 클래스를 Model라고 칭했기 때문에 더 혼란스러웠다.
언어별로 부르는 명칭이 다른 듯하다. 사실 명칭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각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다.
SPA는 Single Page Application의 약자로 한 번 웹 페이지를 로딩하면 사용자가 새로고침하지 않는 이상 페이지를 새로 로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
JPA를 사용 중 아래 코드를 만났고 의문이 생겼다.
책 React.js, 스프링 부트, AWS로 배우는 웹 개발 101을 가지고 5주 스터디를 진행중이다. 책 내용이 정말 좋다! 강력추천
서버API 실습과정에서 DTO를 Entity로 변경하기 위해 Builder패턴을 사용했지만 나는 ModelMapper를 사용해보았다.
VueJS로 화면을 구성하다가 computed와 watch를 사용하는 데 있어 차이점이 궁금했다.
둘이 역할이 비슷한 거 같은데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구독중인 GeekNews에서 아주 흥미로운 글을 봤다. 제목부터가 Localhost시대의 종말이다.
GeekNews에서는 친절하게 한글번역 요약을 해주지만 원문이 궁금해서 원문을 읽고 나름 요약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