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
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
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오늘 또 못알아듣고 말았습니다.
xAPI를 사용하기위해서는 JSON데이터를 LRS에 수집해야한다. JSON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 수 있을까?
내가 알고있는 건 데이터 저장 = DB
이기때문에 DB에 테이블을 생성하여 어떻게 JSON데이터의 KEY, VALUE, DEPTH를 잘 넣을 수 있는 지 고민했다.
xAPI에서 필수적인 데이터들로만 이루어져있는 JSON데이터 예시가 있다.
이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해야 추후에 편하게 DB분석하고 쿼리로 꺼내쓸 수 있을까?
리액트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루트 컴포넌트(보통 App.js)에서 상태를 관리한다.
리액트의 컴포넌트가 많아지면 컴포넌트간의 교류가 빈번해진다. 중앙에 데이터 저장소를 만들고 관리하면 더 편하다. 그것이 바로 Redux이다.
리덕스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관련된 모든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친다.
리액트의 자잘한 팁을 정리해보았다.
리액트를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사용하게되면 계속 this.state를 써줘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구조분해문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팀장급 회의가 있었다. 신규 프로젝트는 어떻게 구성하는 지, 의사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너무너무 궁금해서 팀장님들 회의에 서기로라도 참석하고싶었지만… 나는 신입이기때문에… 참여할 수 없었다. 하지만 팀전체에 공유된 회의 참고자료를 볼 수 있었고 내가 들어만 봤던 도커와 쿠버네티스라는 단어가 보였다. 이참에 완전히 정리해보려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