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Batis] select한 값을 바로 insert할 수 있을까?
DB Mapper를 코딩하면서 일회성으로 쓸 쿼리를 계속 만들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겼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UserDTO가 있다고하자.
user테이블에 idx, name, dept_code만 넣고 싶다. dept_code는 department테이블에서 user_id로 알아낼 수 있다.
DB Mapper를 코딩하면서 일회성으로 쓸 쿼리를 계속 만들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겼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UserDTO가 있다고하자.
user테이블에 idx, name, dept_code만 넣고 싶다. dept_code는 department테이블에서 user_id로 알아낼 수 있다.
스프링부트로 RestAPI를 구현하고 있다. Mapping 어노테이션에서 URI를 지정시 어떤 규칙으로 적용해야할까?
기능구현을 하다보면 시간에 쫓기거나 우선순위때문에 잠깐 미뤄둬야 할 일들이 있다.
모든 걸 다 기억해놓을 수도 없고, 그냥 주석을 쓰면 눈에 잘 띄지않는다.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 Task tag 기능이다.
이클립스나 STS에 자체적으로 있는 기능으로 하단에 Tasks 탭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부트 + 스프링시큐리티 + JWT + MyBatis + MariaDB로 진행하는 API프로젝트에서 참고하면 좋은 프로젝트 구조와 pom.xml
을 공유하고자한다.
프로젝트 구조와 사용하는 의존성에는 완벽이란 없다. 자신의 프로젝트에 맞게 알아서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
프로젝트를 한창 만들다가 또는 다 만든 뒤 해당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리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git bash를 이용한 방법을 알아보자.
기존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 열기 ->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here
클릭하기
그럼 git bash창이 열리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 git 초기화를 한다.
땅 위에 달팽이가 있다. 이 달팽이는 높이가 V미터인 나무 막대를 올라갈 것이다.
달팽이는 낮에 A미터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밤에 잠을 자는 동안 B미터 미끄러진다. 또,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Mapper.xml에서 resultType을 전체 패키지명이 아닌 간단하게 파일명으로 쓰고 싶었다.
참고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조는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