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MariaDB]Entity에 복합키와 FK 제약조건 넣기
JPA에서 복합키에서 식별관계를 매핑 즉, 복합키를 설정한 뒤 복합키 중 하나는 FK조건을 걸어보자.
JPA에서 복합키에서 식별관계를 매핑 즉, 복합키를 설정한 뒤 복합키 중 하나는 FK조건을 걸어보자.
MariaDB와 JPA로 복합키이면서 그 중 하나는 FK인 테이블을 만들고 싶었는데 계속해서 FK 에러가 발생했다.
회사에서 스터디를 진행하고있다. 스터디속에 부장님의 특급 강의도 함께 있어서 정말 많이 배우고있다.
스터디 넘 재밌다!!!
스터디동안에 각자 만들 사이트를 하나씩 정했다. 나는 백신후기웹사이트!!
DB설계를 보여드리고 피드백은 받았다.
MVC패턴 스프링프로젝트에서 Controller에서 Service를 의존성 주입할때 대부분 @Autowired로 필드주입을 한다.
하지만 JPA를 사용하는 경우 @Autowired 필드 주입보다는 생성자 주입 사용을 권장한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간단한 내용이지만 적어두지않으면 잊어버리기 쉽다.
JPA 테스트코드를 공부하면서 패턴에 대해 궁금해졌다.
DTO를 Entity(참고: Entity와 DTO차이)로 변경할 때 주로 3가지 생성 패턴이 쓰인다.
JPA프로젝트를 구글링하다보면 Entity와 DTO를 필드가 거의 똑같은데 나눠서 작성한다.
왜 그렇게 해야할까?
Entity 클래스를 데이터베이스와 맞닿은 핵심 클래스로 Request/Response 클래스로 사용하면 안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