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TimeUnit의 sleep() 사용하기
js에서는 setTimeout()이나 setInterval()을 자주 사용했는데 자바에서는 어떻게 사용할까?
바로 TimeUnit의 static메서드인 sleep()이 있다.
js에서는 setTimeout()이나 setInterval()을 자주 사용했는데 자바에서는 어떻게 사용할까?
바로 TimeUnit의 static메서드인 sleep()이 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화면이 아닌 서비스단에서 외부 API와 호출해야할 일들이 생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RestTemplate이다.
자바로 웹어플리케이션을 만드면 필수로 만나게 되는 파일 중 web.xml
이 있다.
xml파일에 선언하지 않았던 AES_DECRYPT(), UNHEX(), PASSWORD() 함수들이 보였다. 쿼리를 읽었을때 암호화와 복호화인건 알았으나 구체적인 사용방법을 알고 싶어 구글링해보니 MARIADB가 제공하는 내장함수였다.
레거시 소스코드를 분석하면서 jQuery.ajaxSetup()에 대해 알아볼 기회가 생겼다.
이번에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프로시저보다 함수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 지난번 담당했던 프로젝트는 오직 프로시저만 썼었다. 둘의 차이가 뭘까? 언뜻 생각해봤을땐 return유무정도인데 깊이있게 알고싶어졌다.
종종 들었던 Redis, 이번 레거시프로젝트 소스코드분석중 RedisTemplate을 만나면서 그 개념을 함께 정리해보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