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포스트맨(Postman)사용시 동시 요청이 되는 이유?
서버 API 작업 중 A요청 후 디버깅을 하는 와중에 B요청을 했더니 B요청에 대한 응답을 바로 받을 수 있었다.
서버 API 작업 중 A요청 후 디버깅을 하는 와중에 B요청을 했더니 B요청에 대한 응답을 바로 받을 수 있었다.
오늘 회의에서 키스토어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왔다. 앱개발은 전혀 모르므로 이참에 공부해봤다.
회의때 무수히 들었던 AP. 도대체 AP가 뭘까?
일단 Access Point의 약어이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느낌 물씬!
레거시 코드를 분석하면서 다양한 @Transactional 속성을 만났다.
평소에 디폴트로만 썼었기에 이참에 정리해보았다.
오늘 회의에서 신규서비스 테스트를 위해 Mock서버, jUnit단위테스트 등의 이야기가 나왔다.
외부 API를 테스트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RestTemplate을 통해서 외부 API와 통신하는 메서드를 구현하고 있었다.
팀장님이 내 코드를 보시더니 코드리뷰를 해주셨다. (바쁘신 와중에도 코드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외부API와 통신을 하면서 payload를 많이 만나게 되었다. 어렴풋이 알고 있는 이 단어, 생긴 건 JSON과 비슷한데 왜 PAYLOAD라고 부를까?
궁금한 건 해결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