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RestTemplate과 HttpEntity가 뭐길래(제네릭과 ParameterizedTypeReference)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화면이 아닌 서비스단에서 외부 API와 호출해야할 일들이 생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RestTemplate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업무를 도맡았다. 첫 작업으로 맡게 된 건 외부 프로그램과 API로 연동하는 작업이었다.
Http통신을 화면에서 수도없이 날렸지만 서비스단에서 하는 건 업무로썬 처음이었다. 결론 너무 재밌다!
역시 난 프론트보단 백이 더 재밌어.

✍ RestTemplate 이란?

스프링 3.0에서부터 지원하는 객체로 REST방식으로 API를 호출할 수 있는 내장 클래스이다.
스프링어플리케이션에서 HTTP요청할때 사용하며 주로 외부API와 연동할때 RestTemplate와 함께 MultiValueMap, HttpEntity도 사용한다.
다만, 스프링프레임워크5부터는 WebClient사용을 권장하고 있기에 조만간 RestTemplate은 deprecated 될지도 모른다.

  • 특징

  • 함수

    • 출처: https://velog.io/@soosungp33/%EC%8A%A4%ED%94%84%EB%A7%81-RestTemplate-%EC%A0%95%EB%A6%AC%EC%9A%94%EC%B2%AD-%ED%95%A8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서드는 당연 exchage()이다.
    • exchage() : 모든 HTTP 요청 메소드를 지원하며 원하는 서버에 요청시켜주는 메소드
      1
      ResponseEntity<원하는클래스타입> resultMap = restTemplate.exchange(uri.toString(), HttpMethod.원하는통신, entity, 원하는클래스타입.class);




✍ 사용방법




1 의존성 설정

스프링부트를 사용하면 이미 포함되어있으므로 의존성 설정을 따로 해줄 필요가 없다.

1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2 RestTemplate의 생성

  1. Header 생성: HTTP요청을 보낼때 Body를 설명해주는 Header도 같이 보내야한다.
  2. Body 생성: key-value 형식인 MultiValueMap 타입을 사용해서 만든다.
  3. HttpEntity생성: HTTP통신을 하려면 Header와 Body가 하나여야하는데 HttpEntity클래스가 Header와 Body를 합쳐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public class RestTemplateClientService {

public String test() {
// 1. Header생성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add("content-type", "application/json");

// 2. Body생성
MultiValueMap<String, String> params = new LinkedMultiValueMap<>();
params.add("name", "sowon-dev");

// 3. HttpEntity생성
HttpEntity<MultiValueMap<String, String>> entity = new HttpEntity<>(params, headers);

// 4. HTTP 통신
RestTemplate rt = new RestTemplate();
ResponseEntity<Map> response = rt.exchange(
"http://localhost:3000/", //요청할 서버주소
HttpMethod.POST, //요청방식
entity, //요청데이터
String.class //반환되는 데이터타입
);

// 5. Map데이터타입을 메서드리턴타입인 String형태로 파싱
ObjectMapper mapper = new ObjectMapper();
jsonInString = mapper.writeValueAsString(response.getBody());

return jsonInString;
}
}




✍ 만약 exchange 메서드에서 Generic 클래스를 사용하고싶다면?

위의 4번에서 exchange()할때 반환되는 데이터타입이 제네릭클래스라면 어떻게 처리할까?
하루종일 구글링한 방법을 정리하고자한다.




1 현재 상황

아래처럼 ResponseVO<T>클래스TestVO 클래스가 선언되어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ResponseVO<T> 클래스
public class ResponseVO<T> {
private int code;
private T payload;
}

// testVO 클래스
public class TestVO {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message;
}

exchange()를 실행하고자한다.

1
2
3
4
5
6
ResponseEntity<ResponseVO<TestVO>> response = rt.exchange(
"http://localhost:3000/",
HttpMethod.POST,
testJson,
ResponseVO<TestVO>.class //반환되는 데이터타입
);

당연히 잘 될꺼라고 생각했던 코드에 빨간 밑줄이 생기면서 에러가 발생했다.

1
2
3
// 에러메시지
ResponseVO cannot be resolved to a variable
TestVO cannot be resolved to a variable

제네릭클래스인 경우 인스턴스를 어떻게 생성해야할까?




2 ParameterizedTypeReference로 해결

1
2
3
4
5
6
ResponseEntity<ResponseVO<TestVO>> response = rt.exchange(
"http://localhost:3000/",
HttpMethod.POST,
testJson,
new ParameterizedtypeReference<ResponseVO<TestVO>>(){} //반환되는 데이터타입
);

잘해결되었지만 어떤 문제가 있었던걸까? 원인을 알아봤다.

3 문제 원인

  • 제네릭은 데이터타입을 클래스 내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자가 지정한다.
  • 자바는 컴파일시에 제네릭 타입 정보들을 제거 한다.런타임시에는 실제로 타입정보는 존재 하지 않고 강제 캐스팅 된다.

이런 제네릭 정보가 지워지는 문제 때문에 Super type token 기법이 생겨났다.
Super type token은 수퍼(상위)타입을 토큰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무슨말인가?
제네릭 정보가 컴파일시 런타임시 다 지워지지만 제네릭 정보를 런타임시 가져올 방법이 존재한다. 제네릭 클래스를 정의한 후에 그 제네릭 클래스를 상속받으면 런타임시에는 제네릭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Class의 메소드의 public Type getGenericSuperclass() 메소드를 통해 구할수 있다. getGenericSuperclass() 이용하여 바로 위의 슈퍼 클래스의 타입을 반환한다. 상위타입은 제네릭의 타입토큰 정보가 존재한다.
슈퍼(상위)타입의 제네릭 파라미터정보인 Type을 통해 제네릭 파라미터 클래스 정보를 가져온다.
출처: https://ka0oll.tistory.com/m/6

제네릭 정보가 지워지는 문제때문에 제네릭타입은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는게 흥미로웠다. 구글링할수록 자바를 깊이있게 알 수 있어서 재밌었고 좋은 글 써주신 분들 덕분에 한결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참고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