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인증과 인가
책 React.js, 스프링 부트, AWS로 배우는 웹 개발 101
를 읽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인증과 인가
- 인증: 내 집에 들어올 수 있는 사용자
- 인가: 인증받고 들어온 사용자가 내 집에서 할 수 있는 것들
- 화장실 사용, 주방사용, 거실사용 등등
인증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책에서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증종류 3가지 | 설명 | 장점 | 단점 |
---|---|---|---|
Basic 인증 | 클라이언트는 매 요청시 아이디와 비번을 전달하여 자신이 인증된 사용자임을 증명한다 | 인코딩헤도 아이디와 비번 노출됨.사용자를 로그아웃시킬수없음.인증서버에 요청이 많아져 단일 장애점이 되버림. | |
토근기반인증(Bearer 인증) | 토큰은 최초 로그인시 서버가 만들어 줌. 서버가 자기만 아는 시크릿코드로 토큰을 만들어 반환하면 클라이언트는 이후 요청에 아이디와 비번 대신 토큰을 넘겨 자신이 인증된 사용자임을 증명한다. | 아디랑 비번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안측면에서 Basic인증방식보다 안전함.서버가 토큰을 생성하므로 유효시간, 인가관리가능. | 토큰 이름만 바꾸면 새로운 사용자가 되버리므로 스케일문제 해결못함 |
JSON 웹 토큰(JWT) |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 | 전자서명된 토큰을 이용항 스케일 문제를 해결함. | 인증서버에 토큰유효성을 물어보지않으므로 단일 장애점문제해결 |
인코딩을 했는데 왜 문제가 될까?
Basic Auth에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인코딩한다. 이 솔루션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노출한다.
인코딩을 했는데 왜 문제가 될까? 인코딩은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때문!
인간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바로 알아내기 어렵지만 디코더만 있으면 누구나 원래의 아이디와 비번을 알아낼수 있다.
이렇게 가로채는 것을 MITM(Man in the middle attack)라고한다.
JWT 설명 및 각 필드 뜻
JWT는 JSON 형태로 된 토큰이면서 토큰 기반 인증방식이다.
JSON 웹 토큰방식과 토큰 기반 인증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JWT는 서버가 헤더와 페이로드를 생성한 후 전자 서명을 한다는 점이 기존 토큰 기반 인증방식과 다르다.
JWT에게 전자사명이란 {헤더}.{페이로드}와 시크릿키를 이용해 해시 함수에 돌린 암호화한 결과값이다.
- HEADER
- typ: Type의 약자. 토큰타입을 의미.
- alg: Algorithm의 약자. 토큰 서명을 발행하는 데 사용된 해시 알고리즘의 종류를 의미
- Payload
- sub: Subject의 약자. 토큰의 주인을 의미 ex)사용자이메일, 사용자아이디
- iss: Issuer의 약자. 토큰을 발행한 주체를 의미 ex) 내가만든애플리케이션이름, facebook
- iat: issued at의 약자. 토큰이 발행된 날짜와 시간을 의미.
- exp: expiration의 약자. 토큰 만료 시간을 의미.
- Signature
- 토큰을 발행한 주체 Issuer가 발행한 서명으로 토큰의 유효성 검사에 사용된다.
JWT 인증 방식
- 최초 로그인: 서버는 사용자 아디와 비번을 서버에 저장딘 아디와 비번에 비교해 인증
- 일치하면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해
{헤더}.{페이로드}
작성한 뒤 자신의 시크릿키로{헤더}.{페이로드}
부분을 전자서명함. - 전자 서명의 결과로 나온 값을
{헤더}.{페이로드}.{서명}
으로 이어붙이고 Base64로 인코딩한 후 반환.
만약 누군가가 이 토큰으로 리소스 접근을 요청한다면?
- 서버:토큰을 Base64로 디코딩
- 디코딩한 JSON을
{헤더}.{페이로드}
과{서명}
으로 나눈다. - 서버는 위에서 나눴던
{헤더}.{페이로드}
와 자신이 갖고있는 시크릿키로 전자서명을 만든 후 잘라놨던{서명}
부분과 일치하는 비교
이렇게 처리하면 좋은 점은 인증서버에 토큰 유효성에 대해 물어볼 필요가 없기에 단일 장애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누군가가 토큰을 훔쳐간다면?
당연히 해당 계정 리소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드시 HTTPS로 통신해야만 한다.
그래서 Postman 인증 테스트시 HTTP로 하면 안되었던 거구나. 유레카!
스프링 시큐리티가 필요한 이유?
API 실행시마다 사용자 인증을 해주는 부분을 스프링 시큐리티가 대신해줄수있다.
- 스프링 시큐리티란? 서블릿 필터의 집합
- 서블릿 필터이란? 서블릿 실행 전 에 실행되는 클래스들로 디스패처 서블릿 실행되기 전에 항상 실행됨.
-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서블릿 펄터를 사용하려면 2가지를 해야함
- 서블릿 필터 구현하는 작업
- 서블릿 컨테이너에 구현한 필터를 사용하도록 설정해주는 작업
- 여기서 개발자가 할 일은?
서블릿 필터를 구현하고 서블릿 필터를 서블릿 컨테이너가 실행하도록 설정해주기! - 서블릿필터는 꼭 한 개여야할까?
서블릿 필터가 1개일 필요는 없다. 하나의 클래스에 모든 필터를 다 담으면 크기가 어마어마해질 것이다. 따라서 기능에 따라 서블릿 필터 여러 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생성한 서블릿 필터들을 FilterChain을 통해 연쇄적으로 순서대로 실행시킬수 있음.
HttpSecurity란?
- WebSecurityConfig.java 파일을 생성해서 스프링시큐리티 설정해야 함
- 시큐리티 설정을 위한 오브젝트임.
- 이 오브젝트를 통해 web.xml 대신 HttpSecurity를 이용해 시큐리티 관련 설정함.
- 스프링시큐리티에 JwtAuthenticationFilter를 사용하라고 알려줘야함
- 코드 출처 및 원본 바로가기
1 |
|
addFilterAfter()메서드는 JwtAuthenticationFilter를 CorsFilter 이후에 실행하라고 설정하는 것임. 즉, 실행순서는 CorsFilter -> JwtAuthenticationFilter
이 된다. 반드시 이 순서로 실행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가 보기에 적당해보여서 그렇게 설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