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DB구조2 : Instance의 SGA 메모리구조

Oracle DB구조2 : Instance의 SGA 메모리구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구조

영어버전

InstanceSGA
(System Grobal Area)
메모리구조
Shared poolLibrary cache :
- 최근에 실행된 sql구문과 실행계획이 저장되는 공간
- LRU(Least Recently Used Algorithm)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 대소문자, 공백까지 일치가 되어야 hit됨.
Data dictionary cache :
- 최근에 사용된 DB 정의정보가 저장된 공간
- 정의정보란 file, object, 권한, 제약조건 등
- LRU(Least Recently Used Algorithm)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DB buffer cache실제 실행 작업을 하는 메모리 구조
-최근에 사용된 Data block이 저장된 곳
-LRU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Redo log buffer-DB에서 발생된 변경작업의 로그정보(Redo data)가 기록되는 곳
-순환형으로 관리됨
Background
Process
PMON- User proc fail시 진행하던 트랜잭션 롤백 및
선점하고 있던 자원과 lock을 해제함
SMON- Instance fail(= DB 비정삭적인 종료) 후 DB 재시작될 때
DB동기화를 시켜줌
DBWR- DB buffer cache의 Dirty block을 datafile로 기록함
- 체크포인트 발생시 기록함
LGWR- commit이 발생될 때 redo log buffer의 로그정보(= redo data)를
redo log file로 기록함
CKPT- 체크포인트 발생시 DBWR에게 알려줌.
- DBWR기록 후 datafiles 헤더와 controlfile에 마지막
체크포인트 번호를 갱신함
DatabaseDatabase 3대파일Data files실제 data가 저장되는 공간
data dictionary가 저장되는 공간
datafile 정보 조회 : v$datafile(영구data), v$tempfile(임시data)
Control fileDB의 무결성 유지/관리할 수 있는 모든 동기화정보가 기록된 공간
DB의 논리적/물리적 구조 정보, 마지막 작업번호 등이 저장
DB당 하나이상 존재 -> 최대8개까지 다중화기능제공
오라클 권장 3개
Control file 정보조회: v$controlfile
Redolog filesDB에서발생된 변경 작업의 로그정보(Redo data)가 기록된 공간
주목적 : Datafile recovery(복구)
DB당 최소 2개이상 존재
순환형 관리
Redo log Group(논리적 구조) : DB당 2개이상
Redo log Member(물리적 구조,file) : Redo log Group당 1개이상
오라클 권장사항 : Group 3개, Member 2개씩
Redolog files 정보조회 : v$log, v$logfile
Parameter fileInstance의 정의정보가 기록된 공간
SGA할당정보, B/G proc정보 등
DB의 여러 설정 정보가 기록된 공간
위치 : $ORACLE_HOME/dbs
이름 : spfileSID.ora 또는 initSID.ora
Password fileDB를 시작/종료할 수 있도록 인증해주는 공간.
위치 : $ORACLE_HOME/dbs
이름 : orapwSID
OptionalArchived log files- Redo log file의 오프라인 복사본
- 주목적 : Datafile Recovery
- log mode : Narchive log mode VS Archive log mode 중 선택
- log mode 정보 조회 : v$database




SGA (System Grobal Area) 메모리구조

  • 필수 메모리 구조는 3개가 있다.
    • Shared pool, DB buffer cache, Redo log buffer
  • 공유가 가능한 메모리 구조.
  • 실행순서 : Library cache > Data dictionary cache > DB buffer cache




Shared pool

사전 준비작업을 하는 메모리 구조

프로세스 예시

  1. 유저가 접속한다. > select 구문을 날린다.
  2. user proc가 구문을 받는다 : 유저의 요청을 이진정보로 변경 > 해시함수를 통해 반환된 해시value값을 server proc로 전달한다.
    • 대소문자와 공백등 완전히 똑같은 구문이라면 해시value가 동일하다.
  3. server proc가 진행 : 고유한 해시값을 가지고 Library cache로 간다
    • 해시값을 대조해서 동일한 값이 있으면 hit하고 실행계획을 재사용(응답속도 향상)
    • 동일한 해시값이 없으면 miss가 되고 Library cache에 새로 생성.
  4. 그 다음 Data dictionary cache로 간다.




Library cache

  • 최근에 실행된 sql구문과 실행계획이 저장되는 공간
  • LRU(Least Recently Used Algorithm)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 주로 사용되는 FIFO 정책이 아닌 LRU 알고리즘 방식으로 최근에 사용된 적이 없는 것부터 덮어쓴다.
    •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복잡하지만 개별적으로 공부하면 좋다.
  • 대소문자, 공백까지 일치가 되어야 hit됨.
  • hit가 많을 수록 응답속도가 향상되어 DB성능이 좋아진다.
    • 개발자입장에서 어떻게 hit를 높일 수 있을까?
      • 대소문자를 어떻게 쓸지 정확히 정하고 따른다.
      • 같은 DB를 사용하는 사람들끼리 대소문자, 공백등 규칙을 정하고 따른다.
    • DBA입장에서 어떻게 hit를 높일까?
      • Library cache 메모리 사이즈를 최대한 크게 잡을 수록 HIT율은 올라간다.




Data dictionary cache

  • 최근에 사용된 DB 정의정보가 저장된 공간
  • 정의정보란 file, object, 권한, 제약조건 등
  • 위치 : Datafiles의 1번 데이터파일
  • LRU(Least Recently Used Algorithm)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 Data dictionary cache의 hit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
    • 개발자입장 : 불필요한 쿼리구문 실행하지말 것.
    • DBA입장 : cache 메모리 사이즈를 최대한 크게 잡기.




DB buffer cache

  • 실제 실행 작업을 하는 메모리 구조
  • 최근에 사용된 Data block이 저장된 공간
  • LRU 알고리즘으로 관리됨
  • 데이터 블록 크기의 권장사항은 8k(권장사항)
    • 소규모의 데이터를 자주 캐치하는 회사라면 데이터 크기가 작은 것이 처리가 빠르다 : 2k, 4k
    • 대규모의 데이터를 자주 캐치하는 회사라면 데이터 크기가 큰 것이 처리가 빠르다 : 16k, 32k




Redo log buffer

  • DB에서 발생된 변경작업의 로그정보(Redo data)가 기록된 공간
  • 순환형으로 관리됨

Comments